Author : 삶에 플러스가 되는 법률 톡톡 김광삼변호사 / Date : 2014. 6. 16. 16:51 / Category : 성범죄
성폭행 법률 이용
성폭력범죄에 대한 형사처벌과 단속이 강화되어 이런 분위기를 이용하여 허위로 성폭력 피해를 주장하는 사례가 많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시간에는 성폭행 법률 이용하는 여성들의 사례에 대해서 성폭행무죄입증변호사 김광삼변호사와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성폭행 법률 이용하는 꽃뱀들
서울중앙지검 여성아동범죄조사부는 성폭력범죄 처벌 강화 기류에 편승하여 허위로 성폭력 범죄를 신고한 무고사범을 기소하였다고 밝혔습니다.
검찰은 성폭력 사범에 대한 집중 단속을 실시한 결과 합의하에 가진 잠자리를 마치 성폭력 피해를 당한 것처럼 허위로 고소를 하는 악의적 무고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그동안 있었던 무고사범 유형별로는 상대방과 비시도중 홧김에 성폭행으로 허위소로를 한 사례가 가장 많았으며 고소취하에 따른 합의금을 받아낼 목적으로 허위고소를 한 무고사범이 그다음으로 많았습니다.
또한 상대방으로부터 일방적으로 관계청산을 요구받거나 자신의 요구사항을 들어주지 않는 것에 앙심을 품은 다음 허위 고소한 사례, 성폭행 피해자를 오히려 무고로 맞고소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자신이 피소한 사기 사건 등을 해결하여 위하여 상대방을 유혹하여 성관계를 맺은 뒤에 성폭행으로 허위로 고소를 한 사례도 있었습니다.
학원을 운영하는 B양은 9천만원을 빌린 뒤 갖지를 앉아 고소를 당하자 강제로 성폭행을 당한 것처럼 허위로 고소함 혐의로 구속기소되었습니다. 성폭행 고소를 취하하는 대가로 차용금을 물지 않으려는 수작이었습니다.
검찰의 관계자는 성폭력 범죄자에 대한 형사처벌이 강화될뿐만아니라 형이 확정될 경우에 일정 직업에 대하여 취업제한까지 하고 있어서 이런 상황을 악용하여 마치 성폭력 피해자가 인것처럼 허위고소를 하는 악의적 무고사례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지적을 하였습니다.
게다가 악의적 무고는 피고소인에게는 억울한 처벌을 받아야 되는 위험에 노출시킬 뿐아니라 사회적으로 회복할 수 없는 불명예를 짊어지게 됩니다.
진정한 성폭력 피해자까지도 선입견을 갖게 하며 수사기관의 수사력 낭비를 초래하여 사법신뢰를 훼손시키는 중대한 범죄입니다.
이렇게 의도적으로 남성에게 접근하여 성폭행 법률 이용하는 여성들의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남성들은 성폭행을 하지 않았거나 여성과 합의하에 잠자리를 가졌지만 여성에게 협박을 당하거나 성폭행 범죄자로 누명을 쓰게되는 경우입니다.
이런 상황에 놓인 경우 감정적으로 대처를 하다가는 변호사의 도움을 받으며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성폭행무죄입증변호사 김광삼변호사는 다양한 성폭행 사건의 경험을 갖춘 검사출신변호사로 여러분들의 억울한 성폭행 누명을 해결하여 드리겠습니다.
승려 성추행 무죄 (0) | 2014.06.18 |
---|---|
성폭력변호사 전자발찌 위치추적시스템 (0) | 2014.06.17 |
형사분쟁변호사 성폭행 꽃뱀 (0) | 2014.06.13 |
강제추행 무죄입증 방법 등 (0) | 2014.06.12 |
형사소송변호사 무고죄 성추행 (0) | 2014.06.11 |
광고책임변호사:김광삼 변호사